Skip to content

2013.11.02 01:44

위령성월.....

조회 수 575 추천 수 0 댓글 0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 그리고 위령성월...|

 

인디언 아라파호 족은 11월을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이라고 부른답니다.

이 문장은 두 가지 사실을 얘기하고 있네요.

 

먼저 사라진 것이 있죠.

11월은 뭔가 사라져버린 달, 사라지고 있는 달입니다.

하지만 '모두 다' 사라진 건 아니죠.

 

사라진 것들 뒤에, 사라지는 것들 틈에 분명히 남아 있는 것이 있다는 겁니다.

그들에게 11월은 무엇이 사라지고 무엇이 남아 있는 시간이었을까요?

 

여름의 약동하던 생명력이 사라집니다.

숨이 멎을 것 같은 폭염의 열기가 사라집니다.

들판을 가득 채우던 푸른 기운들, 푸르른 나무와 열매와 농작물이 거둬들여지고

그 자리에 저무는 빛깔들이 가득 차옵니다.

  

이제 그 여백으로 조금은 그윽한 시선이 머뭅니다.

그 시선은 낙엽을 보고 서늘해진 공기를 어루만집니다.

꽃이 피었다 진 자리, 뜨거웠다가 열정이 가라앉은 자리,

북적대던 여름의 뒤안길을 쓰다듬으며  조금씩 옷깃을 여밉니다, 그 시선은.

  

그리하여 사라진 것들에 이어

여전히 우리 곁에 있는 것들을 만나게 됩니다.

여전히 우리 곁에 보석처럼 빛나는 것들을 보게 됩니다.

비로소 발견하게 됩니다.

 

가득 차 있을 때는 보지 못했던 것들,

모든 것이 휘황할 때는 미처 시선이 닿지 않던 것들.

  

그리하여 가끔 그 시선은 내 안으로도 고개를 숙이게 합니다.

오늘 내 모습을 가만히 들여다보게 합니다.

  

한편 가톨릭교회의 11월은 위령성월입니다.

말 그대로 세상을 떠난 영혼의 영원한 안식을 구하는 시간이죠.

그리운 그들을 그리워하는 건

결국 내 죽음을 기억하게 합니다.

 

한국 평협 상임위 참석차

강화에 있는 '일만위 순교자 현양 동산' 십자가의 길에서

'무덤, 부활의 자리'라는 문장을 봤습니다.

죽음은 끝이지만 믿는 이들에게는 부활을 위한 싹이 돋는 자리겠지요.

바로 거기에 우리가 알 수 없는 어떤 새로운 시작이 있습니다.

우리가 알 수 없는 어떤 시작 말예요.

 

'죽음'

위령성월에 죽은 이들을 기억하며 그들의 '죽음의 자리'를 돌아보고

결국 내 '삶의 자리'를 돌아봅니다.

  

꽃도 지고 낙엽도 집니다.

그리운 사람 다시 그리운 가을.

'모든 것이 사라진 것은 아닌 달', 11월입니다.

 

죽음으로 이별한 이들을 마음껏 그리워하며

이미 사라진 것들과 제대로 작별을 고하고

아직은 사라지지 않은 것들과 더 사랑하며 살 것을 다짐합니다.

 

부끄러워하지 않고 엉거주춤하지 않고

타오르는 단풍의 붉은 마음처럼 어여쁘게

사랑하리라 마음 먹는 시간입니다.

 

 죽음 앞에 깨어있으라!

  위령성월 11월에 우리 교우들은 세상을 떠난 배우자와 부모 형제,

  그리고 앞서 간 친지들을 위해 기도합니다.

  위령성월은 특별히 아무도 기억해주지 않는 외롭고 불쌍한 영혼들을 위해

  기도하는 달이기도 합니다.

 

  위령성월은 또한 자신의 죽음을 묵상하는 시기입니다.

  사람은 누구를 막론하고 한번은 죽습니다.

  돈 많은 재벌도 죽었고 절대 권력자도 죽었습니다.

  요즈음에는 과학이 발달하여 수명은 늘었지만

  수많은 사고사, 돌연사로 갑작스런 죽음들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우리도 언젠가는 죽을 몸인데

  죽는 것과는 아무런 상관없이 살아가고 있지는 않은 지

  반성해 보는 시간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하느님 품에서의 영원한 삶을 믿는 그리스도인은

  죽음을 두려워해서는 안 됩니다.

  그리스도인이 두려워해야 하는 것은

  과연 하느님 뜻대로 이 세상 삶을 살았느냐는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깨어 있어라. 너희의 주인이 어느 날에 올지 너희가 모르기 때문이다"

   (마태 24,42)고 하셨습니다.       

    깨어있음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기는

   위령성월이 되기를 우리 함께 기원합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8 [성사풀이](1)하느님께 다가가는 일곱가지 여정 제네시오 2020.01.01 32
637 Oratio(기도) 예수님처럼... 제네시오 2020.01.01 24
636 [미사 전례풀이] (28·끝) 교회력의 중심은 성탄과 부활 제네시오 2020.01.01 83
635 [미사 전례 풀이] (27) 낙태된 생명 위해 ‘죽은 이를 위한 미사’ 봉헌해야 하나? 제네시오 2020.01.01 138
634 [미사전례풀이] (20) 미사 해설, 명확 간단해야 제네시오 2020.01.01 44
633 [미사 전례 풀이] (26)조상 제사, 우상숭배 아닌 문화적 풍속 제네시오 2019.12.31 131
632 [미사 전례 풀이] (25) 방송 미사로 주님과 일치할 수 있나? 제네시오 2019.12.31 76
631 성경을 공부하고 성체성사(영성체)가 필요한 이유는... 제네시오 2019.12.31 33
630 감사의 해를 맞이하면서... 제네시오 2019.12.31 31
629 성경속의 자비로운 사람... 제네시오 2019.12.30 58
628 [미사 전례 풀이] (24) 주일 미사 빠졌는데 어쩌나… 제네시오 2019.12.30 32
627 [미사 전례 풀이] (23) 최후의 만찬, 미사 전례의 기원 제네시오 2019.12.30 83
626 [미사 전례 풀이] (22) 미사에 종치는 관습, 12세기 무렵 시작 제네시오 2019.12.30 107
625 예수님 길을 따르려는 세사람... 제네시오 2019.12.30 40
624 매일 드리는 화살기도 7... 제네시오 2019.12.29 40
623 잠시 쉬어갑시다 10... 제네시오 2019.12.29 20
622 [미사 전례 풀이] (21) 흰색 제의, 영광과 기쁨 상징 제네시오 2019.12.29 58
621 [미사전례풀이] 19. 묵주기도, 미사 중 하면 안 돼 제네시오 2019.12.29 46
620 [미사전례풀이] 18. 미사보, 화려하게 꾸민 머리 가리려 착용 제네시오 2019.12.29 40
619 지성을 갖추게 만드는 8가지 말의 원칙(괴테) 제네시오 2019.12.28 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39 Next
/ 39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당일일정: (Tue Jun 18, 2024)
pln_no_event

642-817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473번길 25
전화:(055)262-0985 팩스: (055)285-1826
Copyright © 2013 반송성당. All Rights Reserved

천주교마산교구 미디어국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