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6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0||0사랑하는 교우 여러분, 성삼일이 시작되었습니다.
사실 거룩한 삼일은 유일무이한 하나의 날입니다. 우리는 이 날들에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서 아버지 하느님에게로 건너가신 신비를 기념하며 세상에 드러내는 예식을 거행합니다. 제자들과의 마지막 식사, 십자가의 죽음 그리고 삼일 째 날 부활하심, 그 속에는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하느님의 진리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사람들을 사랑하셨습니다. 우리가 알든 모르든, 원든 원치 않든, 하느님께서는 이 순간에도 우리 사람들을 깊이 사랑하고 계십니다. 영원으로부터 계시는 그리고 우리와 같은 사람이 되신 당신 아드님의 십자가 희생 죽음을 통하여 사람들을 구원하십니다.

오늘 저녁 우리는 주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가진 최후의 만찬을 기억하며 미사를 봉헌합니다. 주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제정하신 성체성사의 기원은 여기에서 비롯합니다.
그리고 앞서 오늘 오전, 성유축성미사를 봉헌하였습니다. 성체성사를 집전하는 사제들이 주교님을 중심으로 한자리에 모여 수품 때의 서약을 다시 새롭게 갱신하였습니다.
성체성사와 관련된 오늘을 두고 '사제의 날'이라고들 합니다. 그러나 사제들이 축하를 받는 날은 아닙니다. 주어진 직무와 함께 사제의 정체성에 대해 새로운 마음으로 성찰하는 날입니다. 이를 위해 신자들에게 기도를 청할 수는 있겠습니다.

사제는 무엇입니까? 사제는 사제로 살아야 합니다. 사제로 산다는 것은 이 세상에서 죽기 전에 먼저 죽어야 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을 두고 부르는 공동의 이름이 있습니다. 그 이름은 "그리스도와 함게 죽었으니, 그리스도와 함께 사는 사람"입니다. 이 이름이 저의 서품 모토이기도 합니다. "Cum Christo mortui sumus, cum Christo vivemus"  사제는 그리스도인의 이 이름에 걸맞게 누구보다도 이 근본적인 삶을 철저하게 살아가도록 불린 사람입니다.
이와 함께 착좌식에서 교구 사제들에게 하신 현 교구장 주교님의 말씀을 저는 잊지 않습니다. "제가 먼저 죽겠습니다. 그러니 여러분들도 저를 따라 함께 죽기를 청합니다." 이는 우리 주님, 우리 스승님이신 그리스도 예수님께서 그렇게 사셨기 때문에 하실 수 있는 말씀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완전히 자유롭게 그리고 분명히 알고 있는 가운데 당신의 때를 향해 나아가십니다. 예수님의 삶의 방식은 "사랑"입니다. 하느님으로서 그리고 사람으로서 예수님께서는 모든 힘을 다하여 "이 세상에서 사랑하신 당신의 사람들을 끝까지 사랑하셨습니다."(요한 13,1)
이 사랑은 당신의 가장 깊은 자기 낮춤을 통하여 가장 위대하게 드러납니다. 최후의 만찬에서 "발 씻김"은 이제 곧 십자가에서 벌어질 일들을 미리 보여주고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그것은 자신을 낮추어 봉사하는 사랑, 죽음에 이르는 희생입니다. 사랑은 그리스도께는 생명의 법이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분의 교회가,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살아가야 하는 법입니다.

그리스도의 이 사랑을 믿는다는 것은 '하느님의 무력함'을 믿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약함'이 세상 사람들의 가장 강한 권력보다도 더 강합니다. 세상의 권력은 사라지지만, 하느님의 사랑은 영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가만 있지 못하게 합니다. 그 사랑이 하느님을 부추기고, 우리를 부추깁니다. 고요함 속에 격렬함입니다. 그 격렬한 사랑으로 예수님께서는 당신 제자들의 발을 씻겨 주셨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셨습니다. "주님이며 스승인 내가 너희의 발을 씻었으면, 너희도 서로 발을 씻어주어야 한다. 내가 너희에게 한 것처럼 너희도 하라고, 내가 본을 보여준 것이다."(요한 13,15)

형식적이 아니라, 겉으로 흉내 내어서가 아니라, 예수님의 사랑과 마음으로, 이제 저도 여러분의 발을 씻어드리려 합니다. 여러분도 그렇게 하십시오.

  1. No Image

    주님 승천 대축일(20120520)

    ||0||0우리 교회는 오늘 "주님 승천 대축일"을 지냅니다. 사람이 되시고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늘에 오르시어 하느님의 영광 속에 받아들여짐을 기념합니다. 하느님의 영광 속에서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대사제로, 우리의 중재자로, 우리...
    Date2012.05.20 By주임신부 Views826
    Read More
  2. No Image

    주님 수난 성지 주일(마르 15,1-39)

    ||0||0연중 가장 중요한 전례 시기인 성주간이 시작되었습니다. 오늘 우리는 미사 중에 마르코가 전한 우리 주님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기를 듣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사형 선고에서 어느 한 사람도 망설임이 없습니다. 모두가 관여하고, 모두가 연루되고 있...
    Date2012.04.03 By주임신부 Views436
    Read More
  3. No Image

    주님 세례 축일(20130113)

    ||0||0루카 3,15-16.21-22 찬미 예수님! 주님 세례 축일입니다. 오늘로 성탄시기는 끝나고, 내일부터는 연중시기가 시작됩니다. 주님의 탄생과 주님의 공현과 주님의 세례는 세상에 당신을 드러내시는 하느님의 하나의 방식이며, 동일한 사건의 연장선상에 있...
    Date2013.01.13 By주임신부 Views1161
    Read More
  4. No Image

    주님 만찬 성목요일(요한 13,1-5)

    ||0||0사랑하는 교우 여러분, 성삼일이 시작되었습니다. 사실 거룩한 삼일은 유일무이한 하나의 날입니다. 우리는 이 날들에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서 아버지 하느님에게로 건너가신 신비를 기념하며 세상에 드러내는 예식을 거행합니다. 제자들과의 마지막 식...
    Date2012.04.06 By주임신부 Views631
    Read More
  5. No Image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루카 5,27-32)

    ||0||0가난한 사람들, 순박한 사람들, 죄인 취급받던 사람들은 예수님의 복음을 받아들이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부유한 사람들, 특히 많이 안다고 그리고 스스로 의롭다고 자부하던 사람들은 예수님의 복음을 받아들이기 무척 어려웠습니다. 그들은 자...
    Date2012.02.25 By주임신부 Views630
    Read More
  6. No Image

    재의 예식 다음 목요일(루카 9,22-25)

    ||0||0"나를 누구라 하더냐?"는 예수님의 물음에 베드로 사도는 "하느님의 그리스도이십니다."(루카 9,20) 하고 고백합니다. 이 그리스도의 고백에 이어, 곧바로 예수님께서는 처음으로 당신 수난에 대해 예고하십니다. 그리고 제자들에게도 자기 십자가를 지...
    Date2012.02.24 By주임신부 Views648
    Read More
  7. No Image

    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마태 9,14-15)

    ||0||0예수님께서는 사람들을 차별하지 않으셨습니다. 죄인 취급 당하고 소외 받으며 살아가는 사람들과도 즐겨 함께 어울려 먹고 마셨습니다. 이를 보고 사람들은 못마땅해 하였습니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세례자 요한의 제자들이 단식에 대하여 물었습니다....
    Date2012.02.24 By주임신부 Views650
    Read More
  8. No Image

    연중 제5주간 목요일 : 이교인 여인의 믿음(마르 7,24-30)

    ||0||0예수님께 이교인 여인이 자기 딸의 치유를 간청합니다. 이에 대한 예수님의 답변은 매정하게 들리지만, 여인의 마음을 일개워주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이 깨우침이 먼저 예수님의 제자들과 바리사이들을 향하고 있음을 잘 알아야 합니다. 그들을 ...
    Date2012.02.09 By차광호 Views486
    Read More
  9. No Image

    연중 제5주간 금요일 : 에파타(마르 7,31-37)

    ||0||0오늘 복음의 중심에 “에파타!” 라는 아람 말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열려라!” 라는 말입니다. 예수님께서 공적 활동을 하실 때 아람 말을 하셨다 합니다. 주님께서 직접 하신 말씀 그대로를 복음서는 소중하게 간직하려 했던 것 같습니다. 이 소중한 주...
    Date2012.02.10 By차광호 Views1126
    Read More
  10. No Image

    신부님강론 올리는곳

    ||0||0신부님강론 올리는곳
    Date2012.02.08 By관리자 Views406
    Read More
  11. No Image

    성주간 화요일(요한 13,21-33.36-38)

    ||0||0"너희 가운데 한 사람이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요한 13,21; 12,4; 마태 26,21) 그 "한 사람"이 누구인지 우리는 잘 압니다. 유다 이스가리옷입니다. 성주간 월, 화, 수요일 삼일간에 걸쳐 우리는 배반자 유다를 주목합니다. 유다가 주님을 배반할 줄 ...
    Date2012.04.03 By주임신부 Views773
    Read More
  12. No Image

    성주간 수요일(마태 26,14-25)

    ||0||0사람은 때와 장소를 잘 알고 살아야 한다고 말들을 합니다. 있어야 할 때와 없어야 할 때를 잘 구별하고, 있어야 할 자리와 없어야 할 자리를 잘 분별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부모가 자녀 교육에 있어서, 자녀가 있어야 할 때와 자리를 잘 알고, 거기에서...
    Date2012.04.04 By주임신부 Views780
    Read More
  13. No Image

    성령 강림 대축일(20120527)

    ||0||0찬미 예수님! 우리 교회는 오늘 성령 강림 대축일을 지냅니다. 성령 파견은 부활 사건에 속합니다. 그러므로 성경의 다른 곳과 달리 방금 들은 요한 복음서에서는 성령 파견을 부활의 날에 곧 바로 일어난 일로 알려주고 있습니다. 부활하신 분의 부활 ...
    Date2012.05.27 By주임신부 Views1091
    Read More
  14. No Image

    삼위일체 대축일(20120603)

    ||0||0마태 28,16-20 우리 교회는 오늘 "삼위일체 대축일"을 지냅니다. 한 분이시며 삼위이신 하느님의 신비는 이해하기 어렵다고 사람들은 말합니다. 사실 그렇습니다.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은 인간이 깊은 사색이나 성찰을 통해 이끌어낸 소위 '전문 용어'...
    Date2012.06.12 By주임신부 Views849
    Read More
  15. No Image

    사순제5주일(요한 12,20-33)

    ||0||0예수님께서 "영원한 생명에 이르도록 목숨을 간직할 것이다."(요한 12,25) 하고 말씀하십니다. 생명의 법칙은 사랑의 법칙으로 통합니다. 생명이나 사랑의 법칙은 주고받는데 있습니다. 주는 것과 받는 것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선물을 주는 것은...
    Date2012.03.25 By주임신부 Views5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당일일정: (Sun Jun 2, 2024)
pln_no_event

642-817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473번길 25
전화:(055)262-0985 팩스: (055)285-1826
Copyright © 2013 반송성당. All Rights Reserved

천주교마산교구 미디어국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