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281 추천 수 9 댓글 1
내 인생 누구를 탓하나요???

아시다시피 현대인의 불행은 모자람이 아니라 오히려 넘침에 있다.
모자람이 채워지면  고마움과 만족함을 알지만  넘침에는 고마움과
만족이 따르지 않습니다.


우리가 불행한 것은 가진 것이 적어서가 아니라
따뜻한 가슴을 잃어 가기 때문입니다. 따뜻한 가슴을 잃지 않으려면
이웃을 사랑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식물 등
살아 있는 생물과도 교감할 줄 알아야 합니다.

자기 스스로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행복하고.
마찬가지로 자기 스스로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불행합니다.

그러므로 행복과 불행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내 스스로 만들고 찾는 것이다. 행복은 이웃과 함께 누려야 하고
불행은 딛고 일어서야 한다. 우리는 마땅히 행복해야 합니다.
자신의 생각이 곧 자신의 운명임을 기억하십시오.

우주의 법칙은 자력과 같아서 어두운 마음을 지니고 있으면
어두운 기운이 몰려온다. 그러나 밝은 마음을 지니고 긍정적이고
낙관적으로 살면 밝은 기운이 밀려와 우리의 삶을 밝게 비춥니다.

밝은 삶과 어두운 삶은 자신의 마음이 밝은가 어두운가에 달려 있고.
그것이 우주의 법칙입니다. 사람은 저마다 홀로 자기 세계를 가꾸면서
공유하는 만남이 있어야 합니다

어느 시인의 표현처럼
"한 가락에 떨면서도 따로따로 떨어져 있는 거문고 줄처럼"
그런 거리를 유지해야 하기때문입니다.

거문고 줄은 서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울리는 것이지,
함께 붙어 있으면 소리를 낼 수 없다. 공유하는 영역이
너무 넓으면 다시 범속에 떨어집니다.

어떤 사람이 불안과 슬픔에 빠져 있다면 그는 이미 지나가 버린
과거의 시간에 아직도 매달려 있는 것입니다.

또 누가 미래를 두려워하며 잠 못 이룬다면
그는 아직 오지도 않을 시간을 가불해서 쓰고 있는 것입니다.

빗방울이 연잎에 고이면 연잎은 한동안 물방울의 유동으로 일렁이다가
어느 만큼 고이면 수정처럼 투명한 물을 미련 없이 그 물이 아래 연잎에
떨어지면 거기에서 또 일렁이다가 도르르 연못으로 비워 버립답니다.

오늘날 인간의 말이 소음으로 전락한 것은 침묵을 배경으로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말이 소음과 다름없이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이죠
우리들은 말을 안 해서 후회되는 일보다도 말을 해버렸기 때문에
후회되는 일이 얼마나 많습니까.

입에 말이 적으면 어리석음이 지혜로 바뀐다고 하죠.
말하고 싶은 충동을 참을 수 있어야 하며. 생각을 전부 말해 버리면 말의 의미
말의 무게가 여물지 않습니다.

말의 무게가 없는 언어는 상대방에게 메아리가 없고.
말의 의미가 안에서 여물도록 침묵의 여과기에서 걸러 받을 수 있어야 함을
잊지말고  대림시기에 침묵가운데

올 한해 나의 삶을 잠시 뒤돌아 보면서 판공성사를 통해 다시 반성과 통회로
주님의 자녀로 거듭 태어나기를 기대해봅니다...

임하소서 구세주여 기다린지 오랫도다 환난 중에 슬퍼하며 주님께 애원하오니
임하소서 구세주여 세상 어둠 밝히시어 갈길 잃고 방황하는 우리들을 이끄소서
기뻐하라 만백성아 곧 오신다 구세주여

이번 한주간도  
기뻐하라 만백성아 곧 오신다 구세주여를 부르면서....
오늘아침 새벽미사중 파견미사곡이 나의 귓전을 울립니다





  • 이 우 돈 2011.12.14 02:21
    대부님 좋은글 감상하고갑니다
    감사합니다
    이우돈 스테파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6 예비단원기초교육 및 간부직책교육 자료 공유합니다 제네시오 2019.08.30 152
325 복음선교는 어렵다... 제네시오 2019.08.31 50
324 교구 위령미사 참여 계획 및 참여 희망자 모집 공고 - 연령회 포그미 2019.09.06 93
323 위령기도문(짧은연도) - 핸드폰 저장(연령회 회원카톡방 복사, 댓글에 요청시 전송) 포그미 2019.09.08 45270
322 장례 미사 중 ‘평화의 인사’ 의 의미 포그미 2019.09.09 170
321 순교자성월의 한국순교자 시복시성기도문(수정본) 포그미 2019.09.10 276
320 성숙한 공동체 신자는... 제네시오 2019.09.12 50
319 매일 드리는 화살기도... 제네시오 2019.09.17 93
318 상처 받는 것은 예방주사! ... 제네시오 2019.09.25 57
317 쁘레시디움 운영사례... 제네시오 2019.09.26 233
316 잠시 쉬어갑시다. 제네시오 2019.09.28 39
315 복음 말씀에 감동을 하고 있나요? 제네시오 2019.09.28 43
314 쉬어갑시다 '가톨릭 외국어'... 제네시오 2019.09.29 201
313 활동하는 레지오가 됩시다... 제네시오 2019.09.29 57
312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 왜 미사 때 앉았다 섰다 하나요 제네시오 2019.09.29 94
311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2) 신부님이 미사 중에 중얼거려요 제네시오 2019.09.30 62
310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3) 미사 중 왜 인사를 많이 하나요? 제네시오 2019.10.01 51
309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4) 신부님의 보라색 패션이 튀어요 제네시오 2019.10.02 65
308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5) 십자성호는 어떻게 긋나요 제네시오 2019.10.04 55
307 천주교 장례절차 소개(고별식은 시신 없이는 거행하지 못한다) 포그미 2019.10.04 18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39 Next
/ 39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당일일정: (Fri Jun 7, 2024)
pln_no_event

642-817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473번길 25
전화:(055)262-0985 팩스: (055)285-1826
Copyright © 2013 반송성당. All Rights Reserved

천주교마산교구 미디어국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