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7) 미사 때 제대에 왜 천을 까나요

성체포, 성체·성혈에 대한 존경심의 표시

2019.06.30발행 [1521호]

성체포를 제대 위에 깔아놓는 이유는 미사 중에 떨어질 수도 있는 성체 조각이나 부스러기들을 쉽게 모으기 위해서다.


나처음: 미사에 참여할 때마다 신부님께서 신자들 보는 앞에서 식탁보를 깔고 한 상 잘 차려 드시고 설거지로 끝낸다는 생각이 들어요. 신자가 아닌 저로서는 너무 재미있어 혼자 웃곤 해요. 작은 식탁보 같은 걸 왜 까는지 정말 궁금해요. 

조언해: 야! 나처음. 네가 아무리 신자가 아니어도 미사를 상차림으로 비유하는 건 너무한 거 아니냐. 미사를 모독하는 느낌이 확 드는데. 갑자기 열이 확 치밀어 오르네. 어이없게.

라파엘 신부: 하하하! 언해야 너무 화내지 마라. 미사가 주님의 마지막 만찬에서 비롯된 것이니 처음이가 한 비유도 결코 틀린 게 아니지. 미사 중 거행하는 성찬례의 ‘찬’을 한자어로 ‘밥 찬’(餐, 먹을 찬)자로 표기하니 처음이가 제대로 미사의 의미를 깨달아 가고 있다고 볼 수 있지. 

말이 나온 김에 또 처음이가 질문했으니 ‘성찬례’에 대해 우선 간단히 이해하고 넘어가도록 해. 처음이가 이제 미사에 많이 참여해서 어느 정도 알겠지만, 미사는 크게 ‘말씀 전례’와 ‘성찬 전례’로 나눌 수 있어. 말씀 전례는 말씀을 선포하고 신앙 고백을 하는 예식이 주를 이루고, 성찬 전례는 마지막 만찬을 시작으로 수난하고 부활하신 주님의 파스카 신비를 기념하고 영성체를 하는 예식으로 이뤄져 있단다. 성찬 전례는 예물 준비, 감사기도, 영성체 등 세 부분으로 다시 나눌 수 있단다. 

처음이가 작은 식탁보 같다는 건 ‘성체포’라고 해. 흰색 아마포로 된 전례용 천으로, 그 위에 큰 제병을 담은 접시 모양의 ‘성반’과 작은 제병을 담은 ‘성합’, 그리고 포도주를 담는 ‘성작’을 올려놓지. 크기는 가로세로 50㎝ 정도 돼. 

성체포를 제대 위에 깔아놓는 이유는 미사 중에 떨어질 수도 있는 성체 조각이나 부스러기들을 쉽게 모으기 위해서야. 성체포는 보통 세 번 접을 수 있도록 해 놓았는데 접혀 있을 때 중앙이나 아랫부분 가운데에 수놓은 십자가가 자리하도록 장식해 놓았단다. 

성체포는 라틴말 전례용어로 ‘코르포랄레’(Corporale)라고 해. ‘몸’이라는 라틴어 ‘코르푸스’(Corpus)에서 나온 말로 성체포 위에서 빵과 포도주가 축성되어 주님의 몸과 피로 성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코르포랄레라고 부르고 있단다. 이렇게 성체포는 비록 작은 천이지만 성체 부스러기 안에서도 현존하시는 주님께 대한 흠숭과 공경의 예를 표하고 있는 전례용구란다. 그래서 항상 질 좋은 아마포로 만들어야 하고, 깨끗하고 깔끔하게 유지해야 해. 이런 이유로 성체포는 늘 풀을 먹여 잘 다려 놓지. 

성체포는 1000년께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어. 이전에는 제대포와 성체포가 구분 없이 사용되었지. 중세 말부터 즉 15세기 말부터 오늘날과 같은 크기의 성체포를 사용했단다. 당시에는 성체포를 ‘성작 덮개’ 용도로도 함께 사용했지. 하지만 17세기부터 성체포와 성작 덮개를 구분해 사용하고 있단다. 

‘성작 덮개’는 포도주와 성혈을 담은 성작에 먼지나 벌레가 들어가지 않게 올려놓는 덮개를 말해. 라틴말로는 ‘팔라’(Palla)라고 불러. 성작 덮개도 아마포 천으로 제작해. 성작 위에 성반을 올려놓았을 때 성반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정사각형 아마포 천에 딱딱한 종이나 플라스틱을 넣어 만들지. 성작 덮개 윗부분에는 성체성사를 상징하는 문양이나 십자가를 수놓아 장식하는 게 일반적이야. 

처음이가 말한 설거지하는 천까지 설명해 줄게. ‘행주’라고 표현하지 않아 정말 다행이야. 전례용어로 ‘성작 수건’이라고 불러. 라틴말로는 ‘푸리피가토리움’(Purificatorium)이라고 해. 영성체 후 성반과 성합, 성작을 닦는 아마포 천이야. 또 영성체 후 사제의 입을 닦는 용도로도 사용해. 16세기부터 널리 퍼져 오늘에 이르고 있지. 사제는 성작 수건으로 성작을 닦기 전에 한 방울의 성혈도 남아있지 않게 먼저 물로 깨끗이 씻어낸단다. 이를 ‘아블루시오’(Ablutio)라 해. 성작을 씻은 물을 마신 다음 성작 수건으로 성작을 깨끗하게 닦아내. 사제는 이때 “주님, 저희가 모신 성체를 깨끗한 마음으로 받들게 하시고 현세의 이 선물이 영원한 생명의 약이 되게 하소서”라고 속으로 기도하지. 

출처 가톨릭평화신문
리길재 기자 teotokos@cpbc.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0 자유 게시판....활성화 할 수 없는가 요한/독수리 2012.01.29 1498
759 "중년의 고백" 요한/독수리 2011.11.08 5659
758 #성당소식#혼배미사 file 홍보미디어위원회 2021.04.20 145
757 차광호 파스칼 주임신부님 사제서품 25주년 감사미사 1 요한/독수리 2012.07.08 2219
756 <교구>연령연합회 정기총회 연령회 2012.01.29 875
755 <명례성지> 2013년 일출 기원미사 초대 file 요한/독수리 2012.12.03 889
754 '의문하는 사람'과 '질문하는 사람' 제네시오 2020.02.15 86
753 '판공성사 보는 방법' 요한/독수리 2011.12.21 20781
752 '하느님 맛의 사람들' vs '재물 맛의 사람들' 제네시오 2019.11.09 46
751 (가정의 달) 잘사는 가정 설송(雪松) 2019.05.06 130
750 (교구소식) 가톨릭신문/ 연도경연 대회, 평신도 대회 file 명례성지 2012.11.22 2524
749 (교구소식) 사제.부제 서품식 요한/독수리 2011.12.27 1826
748 (그때, 두루 소식) 제29회 전국가톨릭공무원 피정대회 결과.... file 요한/독수리 2012.05.28 1613
747 (도보순례기)믿음의 씨앗을 뿌린 순교자 윤봉문 요셉을 기리며... 요한/독수리 2013.04.21 2037
746 (명례소식)2011-2012 해넘이-해맞이 행사안내 요한/독수리 2011.12.20 737
745 (유머) 개구리와 나뭇꾼 요한/독수리 2014.07.17 542
744 (유머)누가 우물에 앉아 있어예~ 요한/독수리 2014.07.17 653
743 * 1년과정-사회복지사/보육교사/평생교육사 교육안내 평생교육원 2011.12.26 492
742 103위 한국 순교자 영정?성화? 사진 file GB/김현희 2012.04.07 522
741 10월 묵주기도성월 기억해야 할 묵주기도 방법... 제네시오 2019.10.16 1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38 Next
/ 38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당일일정: (Wed Jun 5, 2024)
pln_no_event

642-817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473번길 25
전화:(055)262-0985 팩스: (055)285-1826
Copyright © 2013 반송성당. All Rights Reserved

천주교마산교구 미디어국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