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7) 미사 때 제대에 왜 천을 까나요

성체포, 성체·성혈에 대한 존경심의 표시

2019.06.30발행 [1521호]

성체포를 제대 위에 깔아놓는 이유는 미사 중에 떨어질 수도 있는 성체 조각이나 부스러기들을 쉽게 모으기 위해서다.


나처음: 미사에 참여할 때마다 신부님께서 신자들 보는 앞에서 식탁보를 깔고 한 상 잘 차려 드시고 설거지로 끝낸다는 생각이 들어요. 신자가 아닌 저로서는 너무 재미있어 혼자 웃곤 해요. 작은 식탁보 같은 걸 왜 까는지 정말 궁금해요. 

조언해: 야! 나처음. 네가 아무리 신자가 아니어도 미사를 상차림으로 비유하는 건 너무한 거 아니냐. 미사를 모독하는 느낌이 확 드는데. 갑자기 열이 확 치밀어 오르네. 어이없게.

라파엘 신부: 하하하! 언해야 너무 화내지 마라. 미사가 주님의 마지막 만찬에서 비롯된 것이니 처음이가 한 비유도 결코 틀린 게 아니지. 미사 중 거행하는 성찬례의 ‘찬’을 한자어로 ‘밥 찬’(餐, 먹을 찬)자로 표기하니 처음이가 제대로 미사의 의미를 깨달아 가고 있다고 볼 수 있지. 

말이 나온 김에 또 처음이가 질문했으니 ‘성찬례’에 대해 우선 간단히 이해하고 넘어가도록 해. 처음이가 이제 미사에 많이 참여해서 어느 정도 알겠지만, 미사는 크게 ‘말씀 전례’와 ‘성찬 전례’로 나눌 수 있어. 말씀 전례는 말씀을 선포하고 신앙 고백을 하는 예식이 주를 이루고, 성찬 전례는 마지막 만찬을 시작으로 수난하고 부활하신 주님의 파스카 신비를 기념하고 영성체를 하는 예식으로 이뤄져 있단다. 성찬 전례는 예물 준비, 감사기도, 영성체 등 세 부분으로 다시 나눌 수 있단다. 

처음이가 작은 식탁보 같다는 건 ‘성체포’라고 해. 흰색 아마포로 된 전례용 천으로, 그 위에 큰 제병을 담은 접시 모양의 ‘성반’과 작은 제병을 담은 ‘성합’, 그리고 포도주를 담는 ‘성작’을 올려놓지. 크기는 가로세로 50㎝ 정도 돼. 

성체포를 제대 위에 깔아놓는 이유는 미사 중에 떨어질 수도 있는 성체 조각이나 부스러기들을 쉽게 모으기 위해서야. 성체포는 보통 세 번 접을 수 있도록 해 놓았는데 접혀 있을 때 중앙이나 아랫부분 가운데에 수놓은 십자가가 자리하도록 장식해 놓았단다. 

성체포는 라틴말 전례용어로 ‘코르포랄레’(Corporale)라고 해. ‘몸’이라는 라틴어 ‘코르푸스’(Corpus)에서 나온 말로 성체포 위에서 빵과 포도주가 축성되어 주님의 몸과 피로 성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코르포랄레라고 부르고 있단다. 이렇게 성체포는 비록 작은 천이지만 성체 부스러기 안에서도 현존하시는 주님께 대한 흠숭과 공경의 예를 표하고 있는 전례용구란다. 그래서 항상 질 좋은 아마포로 만들어야 하고, 깨끗하고 깔끔하게 유지해야 해. 이런 이유로 성체포는 늘 풀을 먹여 잘 다려 놓지. 

성체포는 1000년께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어. 이전에는 제대포와 성체포가 구분 없이 사용되었지. 중세 말부터 즉 15세기 말부터 오늘날과 같은 크기의 성체포를 사용했단다. 당시에는 성체포를 ‘성작 덮개’ 용도로도 함께 사용했지. 하지만 17세기부터 성체포와 성작 덮개를 구분해 사용하고 있단다. 

‘성작 덮개’는 포도주와 성혈을 담은 성작에 먼지나 벌레가 들어가지 않게 올려놓는 덮개를 말해. 라틴말로는 ‘팔라’(Palla)라고 불러. 성작 덮개도 아마포 천으로 제작해. 성작 위에 성반을 올려놓았을 때 성반을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정사각형 아마포 천에 딱딱한 종이나 플라스틱을 넣어 만들지. 성작 덮개 윗부분에는 성체성사를 상징하는 문양이나 십자가를 수놓아 장식하는 게 일반적이야. 

처음이가 말한 설거지하는 천까지 설명해 줄게. ‘행주’라고 표현하지 않아 정말 다행이야. 전례용어로 ‘성작 수건’이라고 불러. 라틴말로는 ‘푸리피가토리움’(Purificatorium)이라고 해. 영성체 후 성반과 성합, 성작을 닦는 아마포 천이야. 또 영성체 후 사제의 입을 닦는 용도로도 사용해. 16세기부터 널리 퍼져 오늘에 이르고 있지. 사제는 성작 수건으로 성작을 닦기 전에 한 방울의 성혈도 남아있지 않게 먼저 물로 깨끗이 씻어낸단다. 이를 ‘아블루시오’(Ablutio)라 해. 성작을 씻은 물을 마신 다음 성작 수건으로 성작을 깨끗하게 닦아내. 사제는 이때 “주님, 저희가 모신 성체를 깨끗한 마음으로 받들게 하시고 현세의 이 선물이 영원한 생명의 약이 되게 하소서”라고 속으로 기도하지. 

출처 가톨릭평화신문
리길재 기자 teotokos@cpbc.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6 빈손 요한/독수리 2014.11.01 276
505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 위령성월...| 요한/독수리 2014.11.02 500
504 경청의 진정한 의미 - 호스피스 교육... 요한/독수리 2014.11.04 549
503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요한/독수리 2014.11.04 744
502 2014년 사제,부제 서품식 요한/독수리 2014.11.16 643
501 “잘하였다, 착하고 성실한 종아! 요한/독수리 2014.11.16 390
500 평생의 동반자 요한/독수리 2014.11.19 297
499 기쁨을 누리고 싶다면 요한/독수리 2014.12.15 324
498 갑과 을의 관계 요한/독수리 2014.12.21 611
497 교구사제 인사발령 요한/독수리 2014.12.23 1034
496 국제시장 영화 관람 評 요한/독수리 2014.12.28 827
495 성가정 주일 요한/독수리 2014.12.28 258
494 성가정속의 가족은~~ 요한/독수리 2014.12.28 292
493 하늘을 보며 겸손하게 구원의 길을… 요한/독수리 2015.01.02 418
492 테이큰3 영화 관람 후기 요한/독수리 2015.01.08 488
491 일치주간에 “ 우리는 메시아를 만났소 ” 요한/독수리 2015.01.19 362
490 본당신설 알림 요한/독수리 2015.01.21 430
489 하느님께 감사하는 삶 요한/독수리 2015.02.10 262
488 못난 내 모습을 주님께 고백할 수 있는 용기를… 요한/독수리 2015.02.12 287
487 스마트폰은 정말 “스마트” 한가요 ? 요한/독수리 2015.02.12 3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39 Next
/ 39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당일일정: (Fri Jun 7, 2024)
pln_no_event

642-817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473번길 25
전화:(055)262-0985 팩스: (055)285-1826
Copyright © 2013 반송성당. All Rights Reserved

천주교마산교구 미디어국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