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9.10.14 12:44

주님의 기도는...

조회 수 42 추천 수 0 댓글 0

주님의 기도는...


“아버지의 이름을 거룩히 드러내시며, 아버지의 나라가 오게 하소서.”는

하느님 나라의 완성을 바라는 기도입니다.

우리가 기도하지 않아도 언젠가 때가 되면 하느님 나라가 완성될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기도는 그 나라를 건설하는 일에 우리도 동참하겠다는 응답이고, 우리를 그 나라의 시민으로 받아 주시기를 청하는 간청입니다.

(사실 ‘아버지의 나라’는 남의 나라가 아니라 우리나라입니다.
우리가 우리나라의 건설과 완성을 위해서 노력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세상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면서 세상의 복음화를 위해서 노력하는 것이 그 노력의 구체적인 방법입니다.

그런데 만일에 세속의 풍조에 물들어서 세속 사람들과 다르지 않은 생활을 하고 있다면, 아무리 열심히 ‘주님의 기도’를 바친다고 해도, 그 기도는 ‘빈말’이고, ‘거짓 기도’입니다.)



“날마다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는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양식을 청하는 기도입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산상설교에서 이렇게 가르치셨습니다.

“너희는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무엇을 차려입을까?’ 하며

걱정하지 마라. 이런 것들은 모두 다른 민족들이 애써 찾는 것이다.

하늘의 너희 아버지께서는 이 모든 것이 너희에게 필요함을 아신다. 너희는 먼저 하느님의 나라와 그분의 의로움을 찾아라. 그러면 이 모든 것도 곁들여 받게 될 것이다(마태 6,31-33).”

따라서 일용할 양식을 청하는 기도는 하느님께서 일용할 양식을 주신다는 것을 믿기 때문에 바치는 기도이고, 사실상 이미 주고 계시는 일용할 양식에 대한 감사 기도입니다.

여기서 특별히 중요한 말은 ‘저희’ 라는 말입니다.

우리는 ‘나의 양식’이 아니라 ‘우리의 양식’을 청하는 기도를 합니다.

(자기 혼자서만 배불리 먹으면서 이웃의 굶주림에는 관심이 없는 사람은 ‘주님의 기도’를 바칠 자격이 없고, 바친다고 해도 그것은 거짓 기도입니다.)

(‘일용할 양식’을, 하느님 나라에 도착할 때까지 필요한 최소한의 ‘힘’으로 생각할 수도 있는데, 그러면 이 기도는, 지치지 않고 그 나라에 잘 도착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기도가 됩니다.

물론 우리 자신도 끈질기게 노력해야 합니다.
어떤 고난을 겪어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가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느님은 우리에게 ‘힘’을 주시는 분인데, 그 ‘힘’을 잘 받아서 사용하는 것은 우리가 해야 할 일입니다.)



“저희에게 잘못한 모든 이를 저희도 용서하오니 저희의 죄를 용서하시고”는

용서와 구원을 바라는 기도인데,

우리에게 잘못한 ‘모든 이’를 우리가 용서한다는 말이 특별히 중요합니다.

이웃을 용서하지 않는 사람은 하느님께 용서를 청할 자격이 없습니다.

용서의 경우에도,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청하지 않아도 이미 우리를 용서하셨습니다.

하느님께서 이미 주신 용서를 잘 받는 것은 우리 쪽에서 할 일이고, 잘 받는 방법은 바로 이웃을 용서하는 일입니다.

이웃을 용서하지 않는 것은 하느님께서 이미 주신 용서를 안 받겠다고 거부하는 일입니다.

(정말로 억울하고 분한 어떤 일을 당했을 때, 그리고 가해자를 용서하는 일이 너무 힘들고 어려울 때, 그때 ‘주님의 기도’를 바치는 것이 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주님의 기도’는 ‘이웃을 용서할 수 있는 힘’을 얻게 해 주는 기도이기도 합니다.)



“저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소서.”는 

우리의 믿음을 시험하는 것들, 즉 박해, 고난, 유혹에서 지켜 달라는 기도입니다. 

물론 우리 자신도 당연히 노력해야 하는데, 하느님과 우리의 관계를 해치는 시련과 유혹들을 물리치려면 가장 먼저 할 일은 ‘기도’입니다(마르 9,29).


출처 송용진 모세 신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6 카톨릭 관련 홈페이지 정리 1 제네시오 2019.03.31 1223
705 파티마의 성모Pr 선서 file 파티마 성모 2012.04.12 1210
704 제18대 본당 사목회장 선출 축하 요한/독수리 2013.11.25 1200
703 <이웃 부산교구 소식> 125위 시복시성을 위한 제60차 도보순례 요한/독수리 2013.08.13 1200
702 제3회 명례심포지엄 - 밀양의 문화유산과 명례성지 기본구상 1 요한/독수리 2013.10.01 1195
701 너는 어쩜 그렇게 노래를 못하니! file 관리자 2013.04.18 1190
700 2014년 개정 레지오 관리운영지침서 및 시복시성/9일기도 1 file 제네시오 2015.04.10 1177
699 ▶◀[부고] 김민수(유스티노) 신부 선종 file 홍보분과 2013.02.08 1174
698 故 이강해 신부 1주기 추도미사 요한/독수리 2013.10.20 1170
697 파티마 성모Pr 단원선서 1 file 요한/독수리 2012.05.17 1170
696 본당과 참조은 요양병원 자매결연 협약식을 가짐 file 박중규 2012.09.26 1150
695 사별가족과 연령을 위한 위로미사 소감 요한/독수리 2011.12.16 1136
694 신앙대학교 제 17기 졸업식 juliana 2011.12.05 1134
693 가톨릭상장례봉사자 보수교육 이모저모 요한/독수리 2011.11.10 1109
692 레지오 - 활동단체조직도 수정 요청드립니다. 제네시오 2013.06.07 1095
691 추석차례상은 요한/독수리 2013.09.18 1088
690 웅천-명례 소금길 도보 순례 안내 5 요한/독수리 2013.11.13 1086
689 2011.12.26 교구사제 인사발령 요한/독수리 2011.12.27 1083
688 교구내 지자체 단체장 및 도·시·군의원 신자 당선자 취임 축하 미사 요한/독수리 2014.07.17 1070
687 그리스도를 본받아 ─ 준주성범 GB/김현희 2012.01.03 10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39 Next
/ 39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당일일정: (Sat Jun 8, 2024)
pln_no_event

642-817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473번길 25
전화:(055)262-0985 팩스: (055)285-1826
Copyright © 2013 반송성당. All Rights Reserved

천주교마산교구 미디어국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