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미사 전례 풀이] (22) 미사에 종치는 관습, 12세기 무렵 시작


2017.04.30발행 [1412호]



▨성찬 전례 때 복사가 종을 치는 것은 어떤 의미이고, 어디서 유래했나?



미사 때 복사는 필요에 따라 종을 치는데, 이는 신자들에게 빵이 예수님의 몸으로 변하고 포도주가 예수님의 피로 변하게 되는 축성 전임을 종소리로 신호를 해주는 것이다. 종소리를 듣는 신자들은 이때가 참으로 중요한 때임을 기억하며 주의를 집중해 거룩한 성체 성혈에 대한 공경과 흠숭을 표현해야 한다. 



신자들은 사제가 “너희는 모두 이것을 받아 먹어라. 이는 너희를 위하여 내어 줄 내 몸이다” 하며 예수님의 몸인 성체를 들어 올릴 때와 “너희는 모두 이것을 받아 마셔라.… 이를 행하여라” 하며 성작을 들어 올릴 때 경건한 자세로 바라본 다음 사제가 허리를 굽혀 절을 하면 함께 절을 합니다. 



미사 때는 다양한 전례 도구들이 상징적으로 사용되는데, 종은 실용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교회에서 종을 사용하기 시작한 유래는 5세기 말 갈리아(오늘날 북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 일대) 전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 당시에는 시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없었으므로 교회는 신자들이 미사에 참여해야 할 공적 시간을 알리려고 종을 울렸고, 중세기에 들어서는 아침, 점심, 저녁에 개인적으로 바치는 삼종 기도 시간을 알려 주려고 시간을 정해 날마다 종을 울렸습니다. 



또한 교회는 축제 때 기쁨을 알리거나 특별한 일을 알리는 표시로도 종을 울렸습니다. 일반적으로 교회의 종소리는 세상일을 잠시 멈추고 하느님께 마음을 향하게 하는 알림이기도 합니다. 종을 치는 관습이 미사에 도입된 것은 12세기 무렵입니다. 



▨‘복사’는 언제 생겼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복종하여(服) 섬김(事)’이라는 뜻을 지닌 복사(服事)는 사제가 전례를 거행할 때 옆에서 돕는 사람을 일컫는다. 초대 교회에서 복사는 시종직을 받은 사람이 담당했으나 시종직과 같은 낮은 성직품은 1973년 전례 개혁 이후 폐지되고 평신도가 담당할 수 있게 됐다. 그 후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1992년 공적으로 여성들도 복사 직무를 할 수 있게 허락했다. 복사는 어린이들이나 젊은이들만 아니라 어른도 할 수 있다. 



미사 때 공동체를 대신하는 복사는 사제의 개인적인 미사 집전이 성행하기 시작하던 6세기 무렵부터 성직자가 아닌 소년들이 행해 오던 일이었습니다. 이러한 복사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때까지는 대부분 성직자가 될 소년들이 맡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1969년에 발표된 「미사 경본의 총지침」에 따라 정식으로 일반 평신도들에게도 맡겨지게 됐습니다. 



복사들은 경우에 따라 시종의 역할 외에 독서자의 역할을 함께 맡을 수 있습니다. 복사의 기본 자세는 무엇보다도 먼저 사제와 함께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에 참여한다는 것입니다. 복사는 신자의 사제직 봉사의 확대이므로 복사가 되려면 첫영성체를 해야 하고, 적절한 교육을 받아야 하며, 어린이일 경우에는 될 수 있는 대로 부모가 모두 신자여야 합니다. 



출처 가톨릭평화신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7 레지오 교육자료(관리 및 운영 지침) file 제네시오 2017.05.28 438
286 흔들리는 6계명? 요한/독수리 2015.03.27 440
285 내가 성체가 된다니 (펌글) 요한/독수리 2015.06.07 441
284 청소년들을 어른들이 힘껏 도와주십시오 요한/독수리 2014.05.24 444
283 “ 평화를 빕니다 ” 요한/독수리 2015.02.26 445
282 나는 더 이상 잃을 것이 없다 요한/독수리 2014.11.01 449
281 편가르기 요한/독수리 2014.02.24 452
280 감사한 마음을 갖게 하옵소서 요한/독수리 2013.12.17 453
279 “사제의 영과 함께”의 근거는? 설송(雪松) 2018.03.29 455
278 한 알의 밀알이 됩시다 요한/독수리 2015.03.27 458
277 레지아 주관 레지오단원/평의회간부 교육/피정일정,신청서 file 제네시오 2016.03.10 459
276 성주간입니다 요한/독수리 2012.04.07 467
275 문명의 이기(利器)에 사라진 정(情) 요한/독수리 2015.05.14 467
274 성당내 냉.온풍기 전체 점검-시설위원회 file 홍보미디어위원회 2021.04.20 468
273 그리스도의 몸 요한/독수리 2014.06.19 469
272 레지오마리애 관리 및 운영지침서(마산교구) file 제네시오 2016.10.20 469
271 연차총친목회 정창섭 2011.11.09 472
270 윤 제노비아 수녀님 안녕히 가십시요 설송(雪松) 2016.02.19 472
269 2016년 Co. 레지오 예비단원 교육자료(수정rev2) file 제네시오 2016.06.09 472
268 甲午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요한/독수리 2013.12.30 4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39 Next
/ 39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당일일정: (Sat Jun 8, 2024)
pln_no_event

642-817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473번길 25
전화:(055)262-0985 팩스: (055)285-1826
Copyright © 2013 반송성당. All Rights Reserved

천주교마산교구 미디어국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