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527 추천 수 0 댓글 0


불혹의 나이 40대...지천명의 50대를 넘어  육십갑자의 갑()으로  되돌아 오고도

이젠  진갑의 나이   얼마전 까지만 해도 참, 멀어보이던 내 나이였는데. 그래서인지

요즘 술좌석에서 내 친구들도 나이 얘기를 참 많이 한다.


그러다 누군가는 선거철이여서 그런지 40대로 돌아갈 수만 있다면, 했던 것 같고

나는 이렇게 답했다. “, 돌아가고 싶지 않다고.” 지금까지 살아온 것도 충분히 대견하고

기적 같다고. 그리고 무엇보다 지금의 20대들이나 40,50대도, 조금도 부럽지 않다고.

 

하지만 지금의 20대들을 생각해보면, 그래도 우리는 행복한 세대였다.

적어도 열심히만 하면 취업은 할 수 있었다. 비정규직, 인턴사원이란 말이 지금처럼 익숙한

사회도 아니었다. 요즘 초등학생 장래 희망엔 정규직까지 등장했단다.


학교, 학원, 또 학원. 하루 종일 공부만 하는데도 정규직 조차 힘든 세상. 정규직이 돼도,

끝이 아니다. 아직 마흔도 되지 않은 분들인데도 벌써 명예퇴직을 권고받은 친구들도 있단다.

 

살아남는 게 더 어려운 시대다.

퇴직 후 노후의 삶은 더 무섭다. 우리나라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다.

하루 평균 42.6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있다.


그중 청소년과 노인 자살률이 가장 높다. 그들의 나약함만을 탓하기엔, 우리는 지나칠 만큼

약자에게 가장 가혹한 시대를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래도 OECD 국가인데 최소한의 사회안전망은 있겠지, 라는 믿음조차 흔들리는 요즘이니까.

 

지난 몇 주, 가슴 아픈 뉴스들을 보면서 그중 가장 아프게 들렸던 말은 이거였다.

언젠가는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사고. 노후한 선박, 무리한 증축, 지켜지지 않은 안전규칙들.

그리고 무엇보다 그것들을 가능하게 했던 시스템. 그리하여 사고는 일어났다.


그리고 우리는 아무도 구하지 못했다. 사고 직후, 스스로 배를 탈출한 사람 174명 외에

우리는 단 한 명도 구하지 못했다. 구할 수 있을 것만 같은데, 하루 이틀일주일, 열흘

시간은 흘러가고 사람들은 기적을 바랐다.

 

하지만 그 긴 시간을 기다리며 깨달은 건, 도리어 처음 살아 남아준 174명이 기적이었다는 것. 우왕좌왕한 구조상황을 지켜보며, 이런 상황에서 살아 남아준 분들이 도리어 기적처럼 느껴졌다. 고맙게 느껴졌다.


살아남는 건, 아니 사는 건 당연한 일이어야 하는데. 더 잘살 수 있냐 없냐를 떠나서

그냥 사는 건당연한 일이어야 하는데. ‘사는 것이 도리어 고맙고 기적이라니.


그게 어쩌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인지도 모르겠다.

최소한의 사회안전망조차 장담할 수 없는 세상. 살 수, 있어야 했다. 그래서 수많은 사람이

노란 리본에 이런 말을 담은 거다. 미안합니다.


사는 게 당연한 건데, 사는 게 기적이 되어 버린 세상.

지금도 하루 평균 42.6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세상.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

 

누군가가 말했다. 나이를 먹어가면서 세상 탓만 하면서 살면 안 된다고.

이런 세상이 된 데는 당신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젊은 사람들에게 미안해하라고.

그래서 더 미안하다.


살 수 없었던 사람들 가운데 상당수가 어린 학생들이었기에 더...

그런데 어른인 나는, 이 미안한 마음을 앞으로 어떻게 갚아 나가야 할지

그 길이 너무 멀고 막막해 보여 또 미안하고 미안한 마음에 하루가 간다.

그래서  사는게 한없이 부끄럽고 기적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2 레지오의 겸손과 순명은 주회합으로부터 출발... 제네시오 2019.08.24 161
441 [가톨릭 인포] 그리스도의 대리자로 복음을 선포한 이들, 12사도 (下) 제네시오 2020.01.30 161
440 어버이날 감사인사 file 홍보미디어위원회 2021.05.09 161
439 신천지를 탈퇴한 어느 집사의 이야기 2 설송(雪松) 2018.12.01 165
438 열린 마음으로 들어 줄 수 있다면… 설송(雪松) 2015.09.06 166
437 신약의 비유 <17> 열 처녀의 비유 마태 25,1-13 제네시오 2020.01.23 166
436 예수님 따라하기... 제네시오 2020.03.14 169
435 김현 안드레아 부제님과 노태현 마리아노 학사님-가톨릭 광주 신학교 소식 홍보미디어위원회 2021.04.25 170
434 복음선포는 힘들지 않아야 한다 설송(雪松) 2015.07.03 172
433 교황 “성직자, 평신도에게 봉사하라고 부름 받아”… 성직주의 질타 설송(雪松) 2016.05.02 172
432 신약의 비유 <19> 착한 사마리아 사람의 비유 제네시오 2020.01.23 172
431 내 모진 運命에 입을 맞춘다!" 설송(雪松) 2015.07.20 173
430 구원에 이르는 결산 설송(雪松) 2015.11.05 173
429 신약의 비유 <9>장터 아이들의 비유 제네시오 2020.01.11 173
428 초등부 주일성경학교- 5월 일정 안내 file 홍보미디어위원회 2021.04.28 176
427 창원 2Co 2015년 계획 file 제네시오 2015.04.10 177
426 교회사 속 세계 공의회-(1) 연재를 시작하며 제네시오 2020.01.31 177
425 질문을 합니다. 요한마타 2016.01.28 178
424 사순시기 걱정과 불평,이기심을 단식하고 감사와 인내로 단순함을 채우시기를~ 설송(雪松) 2019.04.04 180
423 장례 미사 중 ‘평화의 인사’ 의 의미 포그미 2019.09.09 1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40 Next
/ 40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당일일정: (Thu Jun 20, 2024)
pln_no_event

642-817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473번길 25
전화:(055)262-0985 팩스: (055)285-1826
Copyright © 2013 반송성당. All Rights Reserved

천주교마산교구 미디어국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