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8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0||0주님께서 참으로 부활하셨습니다. 되살아나신 주님께서 우리 가운데 계십니다. 부활하신 주님께서 함께 하심으로 우리 신앙공동체는 살아 있습니다.
산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산다는 것은 '현재', '지금'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이미 지나간 어제나 아직 주어지지 않은 내일은 사는 것이 아닙니다. 실제의 삶은 지금에 있고, 진지한 삶은 현재를 충실히 사는 것입니다. 모든 것을 내일로 미루는 사람은 지금 이 순간을 잃어버리는 것입니다. 어제에 매달려 있는 사람은 지금 이 순간을 회피하는 것입니다. 오늘 행복하지 않은 사람은 어제도 행복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 사람에게 내일 또한 그러할 것입니다.
복음은 기쁜 소식입니다. 복음은 철저하게 '현재'를 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거기에서 구원은 과거나 미래가 아니라, 바로 '오늘'입니다. 이 오늘 속에서 시간은 흘러갑니다. 오늘, 현재, 지금 이 순간, 그 연속이 또한 "부활"입니다.

지금 이 순간 속에서, 여기에서, 우리는 살아야 합니다. 과거는 우리에게서 이미 박탈되었고, 미래는 여전히 우리 앞에 놓여 있습니다. 우리에게 주어져 있는 것은 지금 이 순간입니다. 그러므로 복음이 진정 기쁜 소식이라면, 그 기쁜 소식은 지금 이 순간 여기에 있는 우리의 삶을 위하는 하느님의 초대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초대에 대한 우리의 응답이어야 합니다.

우리 교회는 현재를, 지금 이 순간을, 진지하게 살아가는 삶 그 자체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교회는 대단한 사기극을 벌이고 있는 것이고, 사람들이 그 속임수에 현혹되어 있는 꼴이 되고 말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그리스도인은 철저하게 자기 자신을 속이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되고 말 것입니다.
그러므로 교회에는 단 하나의 선택만이 있을 뿐입니다. 부활하신 주님께서 지금 여기 우리와 함께 살아계시다는 것, 그렇지 않다면 주님도 부활도 없다는 것을 전적으로 따름입니다. 주님께서 지금 여기 우리와 함께 살아 계시다는 것은 우리 교회가 살아 있다는 말과 같습니다. 주님도 부활도 없다고 한다면, 우리 교회도 없다는 의미입니다. 우리 주님의 부활과 더불어 우리 교회도 살아 있습니다. 그리스도 예수님의 부활이 없었다면 우리 교회도 없었을 것입니다. 바오로 사도는 이 점을 잘 알았고, 그래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죽은 이들의 부활이 없다면 그리스도께서도 되살아나지 않으셨을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 되살아나지 않으셨다면, 우리의 복음 선포도 헛되고 여러분의 믿음도 헛됩니다. 우리는 또 하느님의 거짓 증인으로 드러날 것입니다. 죽은 이들이 정말로 되살아나지 않는다면, 하느님께서 그리스도를 되살리지 않으셨 터인데도, 하느님께서 그리스도를 되살리셨다고 우리가 하느님을 거슬러 증언한 셈이기 때문입니다. 죽은 이들이 되살아나지 않는다면 그리스도께서도 되살아나지 않으셨을 것입니다."(1코린 15,13-17)

주님께서 십자가에 돌아가신 후, 제자들은 두려워하며 한 자리에 모여 있었습니다. 부활하신 주님께서 그 자리 그들 가운데 오셨습니다. 그리고 "평화가 너희와 함께!" 하고 인사하셨습니다. 그렇게 부활하신 주님께서는 지금 우리가 모여 있는 이 자리에, 똑 같은 방식으로 오십니다. 주님께서 먼저 우리를 마중 나와 맞아주시고, 그렇게 해서 우리를 지금 이 순간 여기 한 자리에 볼러 모으십니다. 그러기 위해 주님께서는 앞서 의심과 반항심(토마스)을 없애 주셔야 했고, 제자들과 동행(엠마오)하셔야 했습니다. 주님께서는 당시 토마스와 사도들 그리고 엠마오의 제자들처럼, 지금 여기 우리를 초대하시고 불러모으십니다. 그리고 부활하신 당신께서는 우리의 신앙을 통해 세상에 드러나시기를 원하십니다.

주님께서는 우리가 부활하신 당신을 분명하게 알아보고 또 만날 수 있도록, 지금 여기 계속해서 불러 모으십니다. 우리의 의심을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 풀어주고, 새로운 길을 알려주는 당신의 말씀으로, 그리고 우리와 함께 빵을 쪼개며 우정을 베풀어주시는 당신의 만찬으로, 또 우리에게 형제자매로 맺어주는 동료 신자들 안에서, 주님께서는 우리와 함께 지금 여기 계시다는 것을 알려주고 만나려고 우리를 불러 모으십니다.

주님의 제자들은 부활하신 주님을 만나 뵙고 기뻐하였습니다. 그리고 부활하신 주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당신의 평화를 주셨습니다. 그처럼 이 자리에 지금 이 순간 모여 있는 우리도 마음을 열어 부활하신 주님을 알아보고 만나 기쁨을 누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주님께서 베풀어주시는 평화를 함께 누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 평화는 오늘, 현재, 지금 이 순간을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것, 하느님과 우리가 그리고 우리 서로서로가 화해하는 평화입니다. 모든 의심을 극복하고 죽음을 이겨내며,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을 선사하기 위해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값을 치르고 마련해 주신 평화입니다. 이 평화와 함께 우리가 그리고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이 새롭게 변화되어야 합니다.

부활하신 주님을 믿는 신앙을 가진 사람은 이 세상의 삶에서 두려움이 없습니다. 이런저런 일로 주저앉거나 무너지지 않습니다. 비관적인 모습을 보이지도 않습니다. 평상심도 잃지 않습니다. 우리 그리스도인은 "부활절 낙천주의자" 입니다.
부활 신앙, 그것은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영원한 현재'를 살아가는 생명의 활력입니다. 하느님께서는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통해 이미 그것을 이루어주셨습니다. 그리고 부활하신 주님께서는 지금 여기서 우리를 통해 새 사람, 새 땅, 새 하늘을 이루도록, 우리에게 당신의 평화를 선사하십니다. 부활하신 주님께서 마련해 주신 선물을 받으십시오. "평화가 너희와 함께!"

  1. 2020년 3월 27일(사순 제4주간 금요일)

    Date2020.03.27 By홍보분과 Views251
    Read More
  2. 2020년 3월 28일(사순 제4주간 토요일)

    Date2020.03.29 By홍보분과 Views260
    Read More
  3. 2020년 3월 29일(사순 제5주간)

    Date2020.03.29 By홍보분과 Views579
    Read More
  4. 2020년 3월 7일 신부님 강론

    Date2020.03.07 By홍보분과 Views79
    Read More
  5. 2020년 3월 8일 신부님 강론

    Date2020.03.08 By홍보분과 Views52
    Read More
  6. 2020년 3월 9일 사순 제2주간

    Date2020.03.09 By홍보분과 Views43
    Read More
  7. No Image

    3월 첫 토요일 성모신심미사

    ||0||0화해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사순 시기에는 참회의 성격이 강하게 담겨져 있습니다. 참회를 통하여 더 열심히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기도에 전념하면서 파스카 신비의 경축을 준비합니다(전례헌장 109항 참조). 참회의 본질은 하느님을 모욕하는 ...
    Date2012.03.03 By주임신부 Views1052
    Read More
  8. No Image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20120610)

    ||0||0그랏즈 자매교구의 날 첫영성체 마르 14,12-16.22-26 우리 교회는 오늘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을 지냅니다. 이 날 우리 교구는 오스트리아 그랏즈 교구와의 자매 결연 41주년을 기념합니다. 비록 서로 멀리 떨어져 있지만, 양 교구는 한 분이신 ...
    Date2012.06.12 By주임신부 Views1683
    Read More
  9. No Image

    부활 성야(마르 16,1-7)

    ||0||0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거룩한 이 밤에 우리는 한자리에 모여 미사를 봉헌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분께서 살아계시기 때문입니다. 우리 가운데 함께 계시기 때문입니다. 이 부활 소식을 우리는 방금 복음서를 통해 들었...
    Date2012.04.12 By주임신부 Views692
    Read More
  10. No Image

    부활 제2주일(요한 20,19-31)

    ||0||0주님께서 참으로 부활하셨습니다. 되살아나신 주님께서 우리 가운데 계십니다. 부활하신 주님께서 함께 하심으로 우리 신앙공동체는 살아 있습니다. 산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산다는 것은 '현재', '지금'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이미 지나간 어제나 아직...
    Date2012.04.15 By주임신부 Views850
    Read More
  11. No Image

    부활 제3주일(루카 24,35-48)

    ||0||0경제적으로 풍족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고, 궁핍하게 살아가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정치 사회 교육 문화 예술 등 자신들의 분야에서 능력을 인정받고 활발하게 활동하며 살아가는 사람들도 있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타고나는 것일까요, ...
    Date2012.04.22 By주임신부 Views1017
    Read More
  12. No Image

    부활 제4주일/성소주일(요한 10,11-18)

    ||0||0우리 교회는 오늘 성소주일을 지냅니다. 하느님의 부르심에 대해 특별히 기도하고 마음에 깊이 새기는 날입니다. 우리가 자주 듣고 하는 말들이 있습니다. '행복은 자기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 '삶의 기쁨과 즐거움은 자기 나름대로 얻어 누려야 한다.'...
    Date2012.04.29 By주임신부 Views928
    Read More
  13. No Image

    부활 제5주일(요한 15,1-8)

    ||0||0예수님의 부활은 믿고 받아들이기 어려운 사건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그 당시나 지금이나, 부활 사건 자체를 믿기 어려워 합니다. 그러나 부활 사건 자체보다 더 어려운 것은 사실 부활을 확인 할 수 있는 그 어떤 것을 볼 수 없는데 있습니다. 예수님...
    Date2012.05.13 By주임신부 Views851
    Read More
  14. No Image

    부활 제6주일(요한 15,9-17)

    ||0||0부활 제6주일입니다. 부활시기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소중한 부활신앙을 새롭게 깨우치면서 살아가는 은총의 때입니다. 이 시기의 강론은 당연히 예수님의 부활 사건을 철저히 따릅니다. 예수님의 부활 속에서 하느님의 신비가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기 ...
    Date2012.05.13 By주임신부 Views758
    Read More
  15. No Image

    부활대축일

    ||0||0교구장 주교님의 2012년 부활절 담화문 "부할 - 영원한 삶을 향한 여정"으로 대신합니다.
    Date2012.04.12 By주임신부 Views56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당일일정: (Fri Jun 21, 2024)
pln_no_event

642-817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473번길 25
전화:(055)262-0985 팩스: (055)285-1826
Copyright © 2013 반송성당. All Rights Reserved

천주교마산교구 미디어국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