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15.06.12 17:46

생각과 말과 행위로

조회 수 546 추천 수 0 댓글 0

 

생각과 말과 행위

 

“나는 길을 잃었네. 어두운 숲속에서….”

이탈리아의 시인 단테의 대서사시 『신곡』의 초입에 나오는 정황입니다.

숲속에서 길을 잃은 단테는 빛을 발견하고 그쪽으로 향했으나 세 마리의 짐승이 앞을

가로막습니다.  세 마리의 짐승은 표범과 사자, 늑대입니다. 이 비유는 좀 무서운데요,

어두운 숲속은 죄에 물든 단테 자신입니다. 각각의 짐승은 향락과 오만, 탐욕을 상징합니다.

우리는 늘 이런저런 죄를 짓고 세속에 노출된 채로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사 때마다 “생각과 말과 행위로 많은 죄를 죄었으며…”라고 고백을 하며

내 탓이라고 가슴을 칩니다. 혹시 생각과 말과 행위가 세 마리의 짐승은 아닐까요?

그리하여 어두운 숲속을 헤매는 우리 앞을 막고 있지나 않을까요? 생각,말, 행위, 세 개의

낱말이 인간의 삶 전체를 지배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매순간 생각하고

말하고 행위를 하게 되니까요.

 

어느 날  ‘생각 ’합니다. 창문을 열고 맑은 공기를 흠뻑 마시며 ‘하늘이 참 푸르다.

새소리 높고 뺨에 와 닿는 바람은 비단결처럼 보드랍다. 세상이 참 아름답구나.

그래, 잘 살아보고 싶다. 보시기에 좋게 살아야겠다.’ 그런 생각을 합니다. 다른 날에는

다른 생각을 합니다. ‘몸이 천근이다. 희망이 보이지 않네. 도대체 되는 일이 없어.

될 대로 되겠지.’ ‘말’도 그렇습니다.

 

말이야 말로 치유가 되기도 하고 칼날이 되기도 하지요. 말로써 상처주고 말 때문에

상처받은 일이 부지기수입니다. 내가 던진 상처는 기억하지 못하고 내 가슴에 꽂힌 상처는

오래 되씹고 헤집으며 괴로워합니다. ‘말’을 두고 긴 성찰을 합니다. 내가 말을 잘못했구나,

그의 말을 잘못 알아들었구나, 하는 깨달음이 옵니다.

 

마음을 열어야겠다는 다짐도 합니다.

그런 날에는 “안녕하세요?” “고맙습니다.” “미안합니다.” 란 말들이 거짓없이 나옵니다.

기뻐하면서 걷다보면 길섶에 핀 작은 꽃이 눈에 들어옵니다. 쪼그리고 앉아서 작은 꽃과

눈을 맞추며 환하게 웃습니다. ‘행위’는 좀 더 가시적으로 드러납니다. 보통은 생각을 거쳐

말로 표현하고 거기에 맞는 행위를 하게 됩니다.

 

선악이 분명한 경우가 아닐지라도 먹고 잠자고 움켜쥐고 내려놓고 따위가 다 행위입니다.

평범한 사람은 비난받을 만한 행위를 그다지 하는 것 같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선량하니까요. 생각과 말과 행위로 많은 죄를 지을 수도 있지만 그 반대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 세 가지를 봉헌하는 것입니다.

 

그러려면 보다 좋은 생각을 하고 고운 말을 하며 선한 행위를 해야합니다.

이제 어두운 숲속을 벗어나서 빛을 향해 나아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새소리 바람  소리를 기뻐하고, 작은 생명을 어여삐 여기며, 멀어진 이에게 다가갈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물론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저의  뜻을 헤아려 주시고 축복을 주시는 하느님께

늘 감사드리며  믿는대로 되리라는 확신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그래서 기도합니다. “저의  생각과  말과  행위를  당신 뜻대로 다스리소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4 우리는 십자가에서 무엇을 보고 있는가?... 제네시오 2019.10.05 47
333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6) 미사 때 주는 과자는 무슨 맛이죠 제네시오 2019.10.05 149
332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7) 왜 예배가 아니라 미사라 부르죠 제네시오 2019.10.06 56
331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8)신부님은 빵·포도주 다 영하는데 왜 신자들은 빵만 먹나요 제네시오 2019.10.07 45
330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9)성체를 씹어 먹어도 되나요 제네시오 2019.10.07 91
329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0) 부활초와 제대초는 왜 있죠 제네시오 2019.10.07 93
328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1)왜 여자만 미사보를 쓰나요 제네시오 2019.10.08 79
327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2)‘거룩하시도다’를 왜 세 번씩 하나요 제네시오 2019.10.08 60
326 쉬어갑시다 제네시오 2019.10.08 33
325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3) 미사 때 왜 종을 치나요 빵과 포도주의 성변화 알리는 미사종 제네시오 2019.10.08 193
324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4) 성체를 왜 나누나요 제네시오 2019.10.10 68
323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5) 감사 기도는 왜 여러 개 있나요 제네시오 2019.10.10 76
322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6) 미사 중 외는 신경은 몇 개가 있나요 제네시오 2019.10.10 59
321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7) 미사 때 제대에 왜 천을 까나요 제네시오 2019.10.13 66
320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8) 성전과 성당은 다른건가요 제네시오 2019.10.13 50
319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9) 포도주에 물을 왜 섞나요 제네시오 2019.10.13 53
318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20) 성당에서 가장 중요한 곳은 어딘가요 제네시오 2019.10.13 50
317 공동체의 기도는... 제네시오 2019.10.14 35
316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21) 왜 십자가는 여러 형태인가요 제네시오 2019.10.14 48
315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22) 성당 안에 빨간 등을 켜놓은 함은 무엇인가요? 제네시오 2019.10.14 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40 Next
/ 40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당일일정: (Sat Jun 29, 2024)
pln_no_event

642-817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473번길 25
전화:(055)262-0985 팩스: (055)285-1826
Copyright © 2013 반송성당. All Rights Reserved

천주교마산교구 미디어국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