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79 추천 수 0 댓글 0

 

[성당에 처음입니다만] (11)왜 여자만 미사보를 쓰나요

겸손한 마음 담은 아름다운 전통 '미사보'

2019.05.12발행 [1514호]

미사보를 쓰는 것은 그리스도인으로서 소박하고 정결한 생활과 정숙한 몸가짐의 표현으로 초대 교회의 관습이 보편화돼 지금까지 이어져 온 것이라 보면 된다.


나처음: 성당에서 하얀 머릿수건을 쓰고 기도하거나 미사에 참여하는 여성 신자들을 보면 경건한 마음이 생겨요. 다소곳한 모습이 무척 아름다워 저절로 기도하게끔 해요. 참 아름다운 교회 전통 같아요.
 

조언해: ‘미사보’라고 하는 거야. 말 그대로 머리를 가리는 보자기지. 어르신들, 할머니 세대까지만 하더라도 기도할 때는 어디서건 꼭 미사보를 썼는데 요즘엔 잘 안 해. 귀찮기도 하고 무엇보다 성당 안에서 남녀를 차별하는 듯해서 달갑지 않아. 신부님, 미사보를 꼭 써야 하는 건 아니죠?


라파엘 신부: 머리를 가리는 행위는 여러 의미가 있단다. 먼저, 경외와 존경의 표시로 머리를 가린단다. 그래서 유다인들은 남자들도 머리에 둥글고 납작한 ‘키파’라는 모자를 쓰고 기도를 하지. 또 머리를 가리는 것은 ‘동정’과 ‘순결함’을 뜻하기도 해. 여자 수도자들이 베일로 머리를 가리는 이유도 이 때문이야. 아울러 신부님의 전례복이 고대 로마 시대 귀족이나 제관들의 옷에서 비롯된 것처럼 미사보도 당시 귀족 부인들이 즐기던 머릿수건에서 유래됐다고 할 수 있어. 물론 여성들이 머리를 가리는 것은 구약시대 때부터 이어져 온 유다인의 관습일 뿐 아니라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에서도 그렇게 했지. 가톨릭교회에서 여교우들이 미사보로 머리를 가리는 것은 세례성사를 통해 깨끗해졌다는 순결함을 드러내는 오랜 교회의 관습이라고 이해하는 게 가장 타당해.


많은 이가 미사보에 관한 성경의 가르침으로 바오로 사도가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서간 11장 5절의 말씀을 제시한단다. “어떠한 여자든지 머리를 가리지 않고 기도하거나 예언하면 자기의 머리를 부끄럽게 하는 것입니다”라는 말씀인데, 이 말씀을 여자들은 여전히 하느님께 대한 경외와 존경을 표시해 머리를 가려야 한다는 식으로 해석한 것이지.

안타깝게도 오늘날 많은 여교우들이 바오로 사도의 이 말씀을 남성과 여성을 차별하는 가르침으로 인지하고 그 저항의 하나로 미사보 사용을 거부하고 있단다.

하지만 바오로 사도는 결코 남녀를 차등하지 않았단다. 오히려 교회 안에서 남자와 여자를 완전히 동등하게 대우했단다. 바오로 사도는 “그리스도와 하나 되는 세례를 받은 여러분은 다 그리스도를 입었습니다. 그래서 유다인도 그리스인도 없고, 종도 자유인도 없으며, 남자도 여자도 없습니다. 여러분은 모두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하나입니다”(갈라 3,27-28)라고 말씀하셨지. 바오로 사도가 여교우에게 머리를 가릴 것을 요청한 것은 당시 사회 문화의 관습을 제시한 것이라고 보는 게 합당하단다. 바오로 사도가 남교우들에게 머리를 가리지 말라고 한 것은 당시 랍비 전통이 예배 때 머리를 가리지 말 것을 강조했기 때문이란다.  

이처럼 미사보를 쓰는 것은 교회의 오랜 관습일 뿐 신앙의 본질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니란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소박하고 정결한 생활과 정숙한 몸가짐의 표현으로 전례 때 미사보를 써오던 초대 교회의 관습이 보편화돼 지금까지 이어져 온 것이라 보면 돼.

따라서 전례나 개인 기도 중에 미사보를 사용하는 것은 개인의 자유라고 할 수 있어. 영성체할 때 미사보를 해야 한다거나 미사보가 없으면 미사를 비롯한 다른 성사나 전례에 참여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지나친 거란다. 다만, 주님을 만나기 위해 겸손함과 단정함을 갖출 목적으로 미사보를 하는 것은 권장할 만하지 않니. 많은 이들이 미사보를 쓰고 있는 여교우들을 칭찬하는 걸 보면 아름다운 전통을 지켜나가는 것도 우리가 할 일이 아닌가 생각해.

출처 가톨릭 평화신문
리길재 기자 teotokos@cpbc.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7 레지오마리애 관리 및 운영지침서 file 제네시오 2016.02.04 406
336 레지오마리애 관리 및 운영지침 소양 Test 문제 file 제네시오 2016.10.20 331
335 레지오간부역활 및 자기진단서 file 제네시오 2016.10.20 321
334 레지오 훈화 자료 모음 file 제네시오 2016.07.08 5879
333 레지오 훈화 자료 II(139편) file 제네시오 2016.10.04 4617
332 레지오 차봉사,한마음의집봉사, 초/꽃 봉사 (20150409 일자)재편성,주회합실 배정현황 file 제네시오 2015.04.10 415
331 레지오 장의 의미와 절차 file 포그미 2018.08.26 957
330 레지오 자료집을 내면서 1 file 요한/독수리 2012.04.17 812
329 레지오 단원(신입단원,직책교육) 교육용 자료 file 제네시오 2015.04.10 613
328 레지오 교육자료(관리 및 운영 지침) file 제네시오 2017.05.28 445
327 레지오 교육/행사 등 출석부 양식 file 제네시오 2016.06.14 391
326 레지오 - 활동단체조직도 수정 요청드립니다. 제네시오 2013.06.07 1104
325 레지아 주관 레지오단원/평의회간부 교육/피정일정,신청서 file 제네시오 2016.03.10 469
324 레지아 2016년도 전체 교육일정 및 교육내용입니다. file 제네시오 2016.06.10 239
323 라틴어 알아봅시다... 제네시오 2020.01.04 158
322 라틴어 기도 몇가지... 제네시오 2020.01.04 129
321 따뜻한 세상을 만드는 3초 1 에디 2012.02.13 645
320 뒷문 닫으시오 요한/독수리 2013.10.23 1007
319 뒷담화만 하지 않아도 성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파파 프란치스코)... 제네시오 2019.11.09 48
318 두가지 일... 제네시오 2019.12.16 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40 Next
/ 40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당일일정: (Sun Jun 30, 2024)
pln_no_event

642-817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473번길 25
전화:(055)262-0985 팩스: (055)285-1826
Copyright © 2013 반송성당. All Rights Reserved

천주교마산교구 미디어국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