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미사전례풀이] 18. 미사보, 화려하게 꾸민 머리 가리려 착용


2017.04.02발행 [1408호]



▨미사 때 여자들은 왜 미사보를 써야 하나?



1세기 무렵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교회의 공식 예절 때 의복과 분리된 베일을 사용했는데, 이는 바오로 사도가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하느님께서 계시는 성전에 들어갈 때에는 정숙함과 겸손함, 경건한 자세를 갖추고자 세속적 사치를 드러낼 수 있는 화려하게 꾸민 머리를 가린 것이다.




미사 때 신자들이 쓰는 미사보의 유래는 구약 시대 관습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사악의 아내가 될 레베카는 장차 남편이 될 이사악 앞에서 너울을 꺼내 얼굴을 가렸고, 모세와 엘리야는 하느님 앞으로 나아갈 때 자신의 얼굴을 가렸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후자는 하느님에 대한 경외심과 두려움을 상징합니다.



여성들이 외출복의 일부인 베일로 머리를 가리는 관습은 신약 시대에도 이어졌습니다. 당시 유다 여성들이 공적 모임에 갈 때에 머리를 가리는 관례가 그리스도인 여성들에게도 적용됐습니다. 



일반적으로 미사보는 세례성사를 통해 깨끗해졌다는 의미에서 주로 흰색을 사용하지만 다른 색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미사보를 사용하는 것은 교회법에 따른 것은 아니지만 교회의 좋은 전통으로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사 때 서고, 앉고, 절하는 등 많은 동작을 하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



미사 때 서고, 앉고, 무릎 꿇고, 절하는 것은 회중 전체가 능동적으로 미사에 참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말과 동작 하나하나가 다 표징이 되어 주님과 더불어 ‘한마음, 한 몸’이 되게 하는 것이다.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육체와 영혼으로 결합된 단일한 인격체로 만드셨기에 몸과 마음과 정신을 다해 하느님께 예배를 드려야 합니다. 미사 때의 동작과 자세들은 내면적인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도구이고, 나아가 정성을 더하게 해줍니다. 이렇게 육체적 행위들은 동작을 통해 영적인 것으로 변화합니다. 



또한 전례 안에서 함께 행하는 동작들은 회중이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을 이루고, 하느님 백성이 되도록 공동체의 마음을 일치시켜 줍니다. 동작이나 자세라고 하면 몸의 움직임만을 생각하는데, 넓은 의미로 행위 외에도 보고 듣는 것과 침묵까지도 포함됩니다. 



행위 하나하나의 의미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서 있는 것’은 주의를 기울이고 깨어 있는 자세, 곧 준비, 감사, 존경을 드러내는 표시입니다. 요한 묵시록에는 승리자들의 감사 자세가 서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앉는 것’은 듣고 배우는 자세, ‘무릎 꿇는 것’은 겸손과 통회의 자세, ‘허리를 굽히고 머리를 숙이는 것’(절)은 예의를 갖추거나 축복을 받는 자세이며, ‘엎드리는 것’(부복)은 완전한 겸손과 간절한 애원을 드러내는 자세입니다. 부복의 자세는 사제 서품식과 수도자 서원식 때 합니다. 



‘행렬’은 믿음을 공동으로 증언하는 행위로 무엇보다 순례 여정을 표현하는데, 사제가 입당할 때, 부제가 복음집을 모셔 갈 때, 신자들이 예물을 봉헌할 때, 영성체할 때 이뤄집니다. 



‘침묵’은 참회 행위와 각 기도의 초대 다음에, 독서와 강론 다음에, 영성체 후에, 거룩한 예식에 앞서서 합니다. 미사 때 행하는 동작과 자세들은 이러한 의미를 지닌 행위들입니다. 



출처 가톨릭평화신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8 풍요로운 한가위 되시기 바랍니다 요한/독수리 2013.09.17 516
657 대구 관구 회장단 모임 보도내용 요한/독수리 2013.09.17 719
656 추석차례상은 요한/독수리 2013.09.18 1091
655 2주기 기일을 맞이한 마티아 형제를 기억하며 1 요한/독수리 2013.09.20 947
654 故 서수보 양덕 사목회장 영전에,,,, 요한/독수리 2013.09.21 737
653 고조모의 기일을 추모하며 요한/독수리 2013.09.23 889
652 순교자 현양 특강 – 안명옥 주교 요한/독수리 2013.09.25 531
651 교구연령연합회 소식 요한/독수리 2013.09.26 725
650 오늘날의 사제,평신도의 신원과 소명, 공동체에 대한 단상 (斷想) 요한/독수리 2013.10.01 858
649 제3회 명례심포지엄 - 밀양의 문화유산과 명례성지 기본구상 1 요한/독수리 2013.10.01 1200
648 추석특집 "브라스밴드 한국에 오다" 요한/독수리 2013.10.04 925
647 가까운 곳에 소중한 것이 전부학 2013.10.06 492
646 농촌풍경 베꾸마당에선.... 요한/독수리 2013.10.07 609
645 바티칸 인류복음화성 장관 페르난도 필로니 추기경과의 만남 요한/독수리 2013.10.10 1616
644 2013년도 제3차 상임위원회 요한/독수리 2013.10.10 521
643 상장례 50시간 교육에 대한 단상<斷想>. 요한/독수리 2013.10.15 904
642 분도수도원 임인덕 신부님 선종 요한/독수리 2013.10.16 1609
641 사랑은 되돌아옵니다 요한/독수리 2013.10.19 553
640 아홉을 가진 사람 요한/독수리 2013.10.19 568
639 故 이강해 신부 1주기 추도미사 요한/독수리 2013.10.20 11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40 Next
/ 40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당일일정: (Sat Jun 29, 2024)
pln_no_event

642-817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473번길 25
전화:(055)262-0985 팩스: (055)285-1826
Copyright © 2013 반송성당. All Rights Reserved

천주교마산교구 미디어국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